분류 전체보기339 arduino reference https://www.arduino.cc/reference/en Arduino Reference Language Reference Arduino programming language can be divided in three main parts: functions, values (variables and constants), and structure. www.arduino.cc 2020. 5. 14. 게임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0. 5. 10. 변환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0. 5. 10. AND OR XOR AND와 OR의 기호를 보면, 프로그래밍 할 때 종종 봐왔던 연산자들. 참/거짓 표를 보면 헷갈릴수있는데 연산자로 이해해보려고 한다면 조금 쉬울수도. if(true & false) if(true | false) if(true | true) 이렇게 두개만 놓고 비교했을때를 똑같이 2비트 이상의 숫자에 대입해보고, 해당 자리의 비트끼리 연산자를 사용한다고 생각하면 편할듯하다. (전체 비트를 따지지 않고) AND & 연산자 : 둘다 1일때만 1 반환 001 & 011 => 001 OR | 연산자 : 적어도 1개가 1이면 1 반환 001 | 011 => 011 XOR ^ : 두 값이 서로 다를 때 1 반환 001 ^ 011 => 010 2020. 5. 3. JOIN ON / JOIN USING 관계대수에서 조인에 대해 배울때, 조인 애트리뷰트를 배웠다. 그리고, SQL에서 JOIN을 할때 조인 애트리뷰트가 필요하다. 주로 동일조인을 이용하는데, 조인 애트리뷰트는, JOIN ON ( ), JOIN USING ( ) 등 ( ) 안에 조인 애트리뷰트를 적어준다. JOIN ON은 JOIN하는 테이블의 필드 이름이 같거나 다를때 사용한다. S테이블에 Sno라는 필드, E테이블에 Sno라는 필드가 있다면 ( S.Sno = E.Sno ) =>필드명이 같은 경우 혹은 S테이블에 Snumber라는 필드, E테이블에 Sno라는 필드가 있다면 (S.Snumber = E.Sno) =>필드명이 다른 경우 JOIN USING은 JOIN하는 테이블의 필드 이름이 같을 때 사용한다. S테이블에 Sno라는 필드, E테이블에.. 2020. 5. 3. setOnClickListener() 버튼은 view를 상속받는다. https://developer.android.com/reference/android/view/View#setOnClickListener(android.view.View.OnClickListener) 그리고 View에는 다음과 같은 setOnClickListener가 있다. 그리고 조금더 살펴본다면, View에 set 함수는 굉장히 많다.즉, view를 상속받는 클래스라면 set함수를 사용할수 있다는 말이 된다. https://developer.android.com/reference/android/view/View.OnClickListener 출처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래퍼런스 2020. 5. 2. 영상처리 정리 및 암기 방법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0. 4. 28. 필요하다면 아두이노 포트 허브 사용하기!! 굉장히 편함 노트북에 연결된 포트를 뽑았다가 연결시켰다가 하는 과정이 너무 번거롭고 usb 포트가 헐거워질것 같아서 usb 4포트 허브에 연결했다. 좋은점은, 스위치로 온/오프가 가능하다는 점. 우측의 버튼을 클릭하는 것만으로도 전원을 켜고 끌수있다. 매우 좋은점은 usb를 뽑을 때 흔들어서 뽑으면 유격이 생기는데.. 이렇게 클릭만으로도 전원설정을 할수 있어서 굉장히 편하다. 몰론 4포트가 아니라 더 많을수도 있고 모양도 다양하다. 노트북의 포트가 부족하다고 생각하거나, 아두이노처럼 usb 포트를 연결하거나 뽑아야 하는 상황이 잦다면 포트를 사용해보길 권한다. 1만원대로 구매가 가능하다. 다만 포트 수가 많다고 좋진 않음.. 전원과 연결해서 쓰는게 아니라 노트북에 연결해서 쓰는것이기 때문에 전력이 딸릴 수 있음 4구.. 2020. 4. 27. 아두이노 const int 변수명 = 핀번호; pinMode( 변수명, INPUT/OUTPUT); Serial.begin(9600); //여기서 9600이 아니라면 이상한 문자들로 도배됨 Serial.println(); analogRead(); analogWrite(); digitalRead(); digitalWrite(); pinMode의 기본값은 INPUT. 따라서 analog Pin인 A0 - A5까지는 pinMode( , INPUT);를 지정하지 않아도 되지만, digital pin은 반드시 INPUT/OUTPUT를 지정해줘야 한다. analog입력핀은 10bit까지, 아두이노 보드의 출력은 8bit까지이므로 map()을 이용해서 입출력을 잘 mapping 해줘야 한다. 2020. 4. 27. 이전 1 ··· 23 24 25 26 27 28 29 ··· 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