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39

atom에서 화살표함수 사용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0. 5. 21.
풀업 , 풀다운 풀업과 풀다운을 이해하는데 왜 그게 필요한지 이유를 몰랐었는데, 간단한 문제다.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은 크게 문제되지 않는다. 그런데, 전원이 끊어지게 되면 점퍼선에 남아있던 전자가 갈 곳을 잃게 되는 현상이 '플로팅 현상'이다. 이 때, 그냥 방치하면 전하의 이동 때문에 전류가 흐른다는 것으로 판단하게 될 수 있다. 그래서 그것을 방지하기 위해 만든것이 풀업과 풀다운 이다. 말은 조금 복잡할 수 있는데, 단순하게 보면 풀업은 VCC(5v)쪽으로 (up) 연결하는 것이고, 풀다운은 GND (0v)쪽으로 연결하는 것이라 생각하면된다. 이때, Input핀과 vcc가 연결되었는지 혹은 Input핀과 GND가 연결되었는지에 따라서 풀업과 풀다운이라고 생각하면 될것같다. input과 도선쪽에 전자가 있던걸 GND.. 2020. 5. 21.
아두이노로 그래프 그리기 참고 https://it-g-house.tistory.com/entry/Arduino-%EC%95%84%EB%91%90%EC%9D%B4%EB%85%B8%EB%A1%9C-%EA%B7%B8%EB%9E%98%ED%94%84graph-%EA%B7%B8%EB%A6%AC%EA%B8%B0 Arduino 아두이노로 그래프(graph) 그리기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센서를 사용하여 수집한 데이터를 실시간 모니터링하거나 시각화하고 싶은 상황이 자주 발생합니다. 문득 아두이노(Arduino)는 그래프(graph) 기능이 없나? 하고 의문이 드�� it-g-house.tistory.com 2020. 5. 19.
DHT11 습도센서 참고 http://makeshare.org/bbs/board.php?bo_table=Wiki2&wr_id=2 한글보드 : 아두이노 온도, 습도 측정센서 모듈 (DHT11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 한글보드 : DHT11 온습도 센서 (Introduction)한글보드 : DHT11 온도 습도 센서입니다. DHT11은 내부에 써미스터와 정전식 습도 센서가 내장되어있으며각각 온도 습도 값에 따라 저항 값이 변합니다. 또한 makeshare.org 2020. 5. 19.
ECMAScript 발음 ECMAScript 발음 에크마 스크립트라고 하는데, 이씨마스크립트라고도 하는것 같다 2020. 5. 19.
아두이노 블루투스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eduino&logNo=221121406317&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m%2F [아두이노 강좌] 블루투스 모듈 HC-06 사용법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에듀이노 입니다. 오늘은 블루투스 모듈 HC-06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블루투스 HC-06 ... blog.naver.com 2020. 5. 18.
아두이노 IDE 자동줄맞춤 단축키 ctrl + T 2020. 5. 18.
호이스팅 Hoisting Hoisting : 1. var을 통해 정의된 변수의 선언문을 유효 범위(함수 안쪽의 최 상단)의 최 상단에 배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2. 함수의 선언도 호이스팅의 대상이 된다. 선언문 이란 ? var 변수명; 할당은 {} 안쪽에 그대로 남겨둔다. 함수의 선언이란 ? function 함수명 (){} 다음 블로그를 참고하면 확실하게 이해할 수 있다. https://yuddomack.tistory.com/entry/%EC%9E%90%EB%B0%94%EC%8A%A4%ED%81%AC%EB%A6%BD%ED%8A%B8-%ED%98%B8%EC%9D%B4%EC%8A%A4%ED%8C%85Hoisting 자바스크립트 호이스팅(Hoisting) (안내) 호이스팅의 원리에 대한 글을 추가로 포스팅했습니다. (19.10.13).. 2020. 5. 17.
MFC C2143 구문 오류: ';'이(가) '*'앞에 없습니다. 위와같은 오류가 나는 경우, 헤더파일을 살펴봐야 한다. 구글링을 해봤는데, Doc와 View 헤더파일의 순서도 중요하다고 했었음. 내 경우는 단순히 Doc헤더파일을 include하지 않아서 생긴 오류.. 2020. 5. 17.